구글 광고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주식

[주식] 데브시스터즈 23% 급등 이유와 기업 분석

주식쟁이 2023. 8. 27.
반응형

 데브시스터즈 무슨 기업인가?

출처: 에프앤가이드

'쿠키런'이라는 독자적 IP를 활용한 다양한 작품을 개발, 운영함. 대표작으로는 '쿠키런 for kakao',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쿠키런: 킹덤' 등임.모바일게임 서비스는 개발한 게임을 자체적으로 퍼블리싱하여 글로벌마켓(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에 직접 공급, 이를 통해 국내외 소비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쿠키런' IP 관련 사업, 벤처캐피탈을 통한 Capital Gain 등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 중에 있는 기업입니다.

쿠키런 이미지
데브시스터즈 대표작 쿠키런 이미지

 

 데브시스터즈 최대 주주와 배당금

데브시스터즈 최대주주는 이지훈 외 14인 총합 24.15% 보유 중이며 컴투스 14% 자사주 10% 비율을 유지 중이고, 그에 따른 데브시스터즈 주가 상승 시 컴투스 주가 상승여력도 있습니다. 데브시스터즈는 2022년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데브시스터즈 최대 주주
출처: 네이버 증권 데브시스터즈 최대 주주

 

 데브시스터즈 최근 실적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책은 1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습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이 되나 영업이익과 순이익 적자 상황은 피할 수 없을 것을 보입니다.

데브시스터즈 실적
출처: 네이버 증권 데브시스터즈 실적

 

 데브시스터즈 차트 분석

데브시스터즈 일봉 차트를 보면 현재 완벽히 추세를 뚫었다 생각이 되지는 않으며 현재 바닥구간을 잘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전 저점인 33,000원 부근을 뚫고 내려가게 되면 급락 가능성이 있어 유의가 필요하며 52,000원 부근에 매물대가 있어 한번에 뚫기에는 어렵다 생각이 들고, 만약 데브시스터즈를 보유 중이신 분은 그 구간 전에 물량을 조금 덜어내는 것이 좋다 생각이 됩니다.

 

*이것은 지극히 저의 생각이며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브시스터즈 일봉 차트
출처: 네이버 증권 데브시스터즈 일봉 차트

 

 데브시스터즈 주가 상승 이유

1) 데브시스터즈 신작 브릭시티 출시

데브시스터즈 신작 브릭시티 출시 하루 만에 한국 애플 앱스토어 인기 순위 1위, 미국 애플 앱스토어 인기순위 7위에 올라 신작 흥행 기대감에 주가가 상승하였습니다.

네이버 뉴스 (쿠키런 신작 출시)
출처: 네이버 뉴스 (쿠키런 신작 출시)

 

2) 쿠키런 킹덤 중국 예약순위 1위

데브시스터즈에서 개발한 모바일 RPG 쿠키런: 킹덤이 중국 수용 앱마켓 플랫폼 탭탭과 대표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 예약순위 1위를 달성하여 중국 자금이 들어와 실적 상승 기대감에 주가가 상승하였습니다. 국내 게임들이 슬슬 중국에 다시 진출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어 게임주들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네이버 뉴스 (쿠키런 중국진출)
출처: 네이버 뉴스 (쿠키런 중국진출)

 

 게임주에 대한 개인적 생각

현재 게임주들의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 모습입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게임 개발 리스크, 코로나가 끝나가는 추세에 사람들이 집에서 게임을 잘 안 하고 밖에 나와서 놀게 되는 부분, 한동안 대규모 시장인 중국 진출 금지, 비트코인 하락으로 인한 게임사들이 개발한 코인들 하락, P2E 게임 국내 규제 등 다양한 리스크들이 존재를 하여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다르게 말하면 다양한 리스크가 있을 때가 저점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데브시스터즈 쿠키런처럼 국내 게임들이 다시 중국에 재진출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과도한 금리 인상으로 올해부터는 연준에서 금리 인하를 발표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게임사들한테는 가장 큰 호재인 P2E 게임 규제 완하라는 이슈가 있기에 개인적으로 게임 관련주들은 장기적으로 보면 괜찮은 섹터라 생각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